스트레스 받을 때에는 매콤한 음식이 제격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엽기떡볶이 오리지날 1단계를 주문했는데 지금 매워서 난리가 났지 뭐예요... 그래도 시원한 에어컨 아래에서 매콤한 음식을 먹으니 스트레스가 날라갑니다~ 해가 많이 짧아졌더라구요. 예전에는 8시 가까이까지 해가 밝았던 것 같은데 확실히 해도 짧아지고 아침 저녁으로는 선선하니 날씨도 좋고 여름도 이렇게 가나봅니다.
오랫동안 연락이 끊어졌던 친구와 최근에 연락이 닿았어요. 정말 깜짝 놀라기도 하고 반갑기도 하고 만나기 전에 전화통화 먼저 했는데 진짜 엊그제 만났던 것처럼 어색함이 1도 없더라구요. 아, 그리고 오늘은 중소기업 근로소득세 면제 대해서 생각해 볼까 합니다.
원천징수에 해당하는 대상, 근로소득을 지급하는 사람들은 근로 소득 금엑에 원천징수에 관한 세율을 적용시켜 나온 세액을 징수해 정해진 징수일이 속한 달의 다음달 10일까지 관할 세무서 등에 근로소득세를 꼭 납부해야 합니다.
자신이 일할 수 있는 근로와 그에 따라 얻을 수 있는 가지각색의 급여에 대한 대가로 내는 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근로에 관한 소득세는 어떻게 얼마나 내야하는지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매월 내야하는 근로소득에 관한 원천징수는 근로소득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간이세액표에 의해 낼 수 있습니다.
특히 중소기업 근로소득세 면제 관련하여 2020년 근로소득세 간이 세액에 관한 개정사항이 2월11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올해 이것을 계산하시는 분들은 개정사항을 꼼꼼하게 읽고 계산하시는 것이 좋겠네요. 회사에 다니던지, 자영업을 하든지 수익이 있는 사람이라면 다 연말정산을 하실 텐데요. 이때 평소 내가 내는 세금이 무엇인지는 아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과세에 대해서 더 잘 알면 절세나, 공제, 환급 등의 다양한 이득도 볼 수 있답니다. 저희 집은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20세 이하의 세 자녀를 두고 있어서 남들보다 높은 공제률을 받고 있답니다.
대한민국 직장인이라면 절대 모를 수가 없는 세금, 바로 근로소득세입니다. 개인의 근로로 얻게 되는 근로소득에도 소득세가 적용되는 것은 성인이라면 다 아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힘들게 번 소득인데, 정확히 어떤 항목에서 얼마나 부과되는지 모르면 세금 내는 입장에서는 억울하기만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어떤 명목에서 어떤 식으로 부과가 되고, 어떻게 계산이 되는지를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근로소득세 계산하는 방법은 쉽지 않은데, 암산이 아닌 계산기가 있어야 하기에 매우 어렵습니다. 하지만 홈택스의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조회 방법을 인터넷에서 조금만 알아보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근로소득간이세액표의 경우 매달 그 달의 급여를 공제한 세금으로 표를 만든 것이기에 실제 세금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하지만 근로자 본인 입장에서 세금 조회를 한다면, 회사 담당 직원 원천세 신고를 할 때, 참고하기에 편합니다. 생각했던 것보다 세금신고는 매우 복잡하기에 용어 자체를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었습니다.
근로소득간이세액표는 지난 2월 최신 개정으로 업데이트가 되어서 공제액 한도가 신설되었는데요. 그에 따라 소득 급여 세액 산출 기준이 일정 부분 변경되었는데요. 국세청 홈텍스에서 제공하는 세액표에서 확인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근로소득세 계산하는 방법은 월급여 그리고 공제대상이 되는 부양가족수, 20세 미만 자녀수에 따라 소득세가 달라지게 되는데요. 그리고 최저시급도 점점 오르기 때문에 최저시급 기준으로 받은 월급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중소기업 근로소득세 면제 관련 내용으로 회사를 다니는 저 같은 경우에는 한달에 받는 월급에서 원천징수의무자에게 세금을 떼이고 나면 제가 연말 정산을 할때 계산해야 하는 세율이 보였어요. 또 근로소득세는 자신의 가족중에 20세 이하의 자녀의 수에 따라서도 그 세율이 더해지기 때문에 하나하나 꼼꼼하게 살펴보면서 세금을 따지게 되면 보다 정확하게 살필 수 있었어요.
아직은 바뀌는 세법에 적응을 하느라 여러므로 알아야 하는 사실들이 많지만 보다 정확하게 연말정산때 확인하기 위해 항상 주의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도 근로소득세 자세히 알아보시고 연말정산때 좋은 결과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근로소득에 대한 정확한 세금은 연간 근로소득을 합쳐서 각종 세제혜택에 해당하는 소득공제 등을 반영한 다음에 세율을 곱해서 결정세액을 산정하게 됩니다. 여기서 간이세액의 12개월 분의 합계가 결정세액보다 많은 사람의 경우 세금을 환급해주게 되고, 반대로 간이세액이 덜 납부된 경우라면 추징 당하게 됩니다.
근로소득세 계산법은 쉽지 않기 때문에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조회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시 세액 추가납부와 같은 부담을 분산하기 위해 월 급여액 수준과 공제대상 부양가족 수에 따라 매월 원천징수해야하는 세액을 정한 것이 표로 나와있어 내 월급 기준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제 중소기업 근로소득세 면제 포스팅을 끝맺도록 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산세 일부납부 새로워보이는 정보들 (0) | 2020.09.23 |
---|---|
지방세 pdf 어떻게 하나 (0) | 2020.09.23 |
취득세 인상 시기 이것만은 (0) | 2020.09.23 |
부가가치세 환급 반환 좋을까요? (0) | 2020.09.22 |
지방세법 제28조 확인해 볼께요 (0) | 2020.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