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드디어

2020. 11. 17.
 

경량패딩 입던 것이 문고리에 걸려서 찢어졌어요. 아 저렴하게 사서 잘 입고 다녔는데 하나 더 사야할 것 같더라구요. 같은 디자인인데 몇 년 사이에 가격이 오른 것 같아요. 얼마전에 사귀는 친구와 1주년이라서 비싼 스테이크집에 갔는데 솔직히 기념일이라 간거지만 너무 비싸고 김치찌개가 절로 생각나더라구요.

그래서 스테이크집을 1차로 갔다가 2차로 포장마차에서 우동 먹고왔어요 ㅋㅋㅋ 겨울인데 갑자기 냉면이 먹고 싶어서 주변에 냉면 전문점을 찾았는데 보통 낮에만 영업하시더라구요. 겨울에 이렇게 추운데도 냉면이 땡기는 것 보면 참 신기하기도 하고 그래요. 아, 그리고 이번엔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대해서 공유해 볼까 합니다.

 

양도소득세에 대해서 어디에 해당이 되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을텐데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중 보유기간 2년에 대해서 이것이 무엇인지 궁금한 분들을 위해 설명을 해드리자면 어떤 경우에는 비과세 요건을 충족했지만 정확하게 알지 못해서 집을 팔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재건축일이나 상속일로부터 다시 2년을 채우기 위해서 기다리기도 합니다.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외에도 원본손실 가능성이 없는 투자의 소득은 제외가 되어 양도소득세가 발생하지 않지만 주식이나 다른 펀드 상품의 경우에 수익이 있을 수도 있지만 마이너스손실이 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품에 대해서만 과세를 하게 되고 기존에 예금과 적금과 같은 것은 이자, 배당소득으로 분류하여 별도로 과세가 진행된다고 합니다.

 
 

이론상으로 같은 주소에 거주하고 있더라도 동일 세대로 인정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동일한 주소라고 하더라도 별개의 세대로 볼 수 있고 1세대의 구성요건은 거주자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비거주자의 경우 1세대 1주택 비과세를 적용받을 수 없고 1세대에 1주택만을 소유하고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양도소득세를 잘못 신고하기 쉬운 사례가 있기 때문에 이를 설명해드리고 잘못신고하지 않도록 주의를 해야 할텐데 양도가액을 잘못 입력한 경우에는 비과세 혜택은 물론 오히려 가산세가 붙을 수 있는데 고액프리미엄이 형성된 재건축 입주권이나 아파트 분양권 등을 전매한 후에 양도가액을 축소한 경우에는 안됩니다.

 

양도라는 것은 거래를 하여서 등기나 등록과는 무관하게 소유권을 넘겨주는 행위를 말하는데 이 때 토지도 포함이 되고 건물이나 분양권 입주권 등을 매도하였을 때 이익이 발생하면 그것에 따른 세금이 붙게 되는 것인데 반대로 생각해보면 수익이 전혀 생기지 않거나 오히려 마이너스가 되었을 때는 세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더 알아보면 양도소득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닌데 장기보유특별공제라는 것이 있는데 보유기간이 3년 이상된 부동산의 경우에는 양도차익에서 기간에 따라 장기보유특별공제액을 차감하여 세액을 줄일 수 있는 것인데 실물 자산인 부동산의양도차익 중 물가상승분 수준에 대한 세금을 덜어주는 효과를 가져올 것 같습니다.

현재는 해당 권리도 주택수에 포함이 되지만 미분양 아파트의 경우에는 주택수에 포함이 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갖고 있어서 예를 들어 분양이 완료되고 입주 전부터 아파트값이 올라가는 경우는 분양권도 그에 따른 수익이 발생하고 입주전에 되팔았을 때도 수익이 나기 때문에 양도소득세를 꼭 내야 하는 것입니다.

이제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포스팅을 끝맺도록 하겠습니다. 건강한 하루 되세요.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밴드